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문가비인스타
- 마케팅
- 로봉순무죄
- 문가비프로필
- 문가비아들
- 갤럭시s6
- 소비자 행동
- 로봉순코갱
- 저작권
- 동덕여대남녀공학
- 정우성문가비
- 로봉순나이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로봉순징역
- 동덕여대공학
- 바르셀로나한인민박
- 찢어라 리믹스 선언
- 셰익스피어
- 경쟁우위
- 파리한인민박
- 오연하나무위키
- 정우성문가비아들
- 동덕여대공학전환
- 파리숙소추천
- 파리가성비숙소
- 구글
- 멜론
- 로봉순프로필
- 민다
- 파리에어비앤비
Archives
- Today
- Total
IntelFighter of the World
우리 금융 민영화. 헐 값 매각 되서는 안된다. 본문
반응형
우리 금융 민영화 방안이 결정이 났다. 25일 금융위원회에서는 14개 계열사의 우리 금융 지주를 3개 그룹으로 묶어서 분할 매각한다고 발표했다.
이와 같이 매각 진행 방향을 잡은 데에는 여러가지를 고심한 흔적이 보였다.
이전까지의 정책 방향은 투입된 공적 자금 회수 극대화였다.
그래서 이와 같이 계열사를 분할해 매각하는 것보다는 우리 금융 그룹 전체를 매각하여 민영화 하려는 시도를 해왔다.
그러나 7조원이 넘는 인수 자금을 동원할 만한 인수후보자를 찾는 것 역시 어려웠다.
금산분리의 원칙에 따라 굴지의 해외 대기업 조차 입찰 불가능이며, 외환은행의 경우처럼 해외 자본에 떠 넘길만큼의 상황도 아니였기 때문이다.
결국 인수후보자를 찾지 못하게 되고, 이에따라 민영화가 점차 늦춰지면서 아예 공적 자금을 회수하지 못하는 것 아닌 가 하는 우려가 나오게 되었다.
이에 어떻게든 민영화를 하고자 하는 의지가 이번 매각 정책에서 나타났다. 내년까지는 어떻게든 민영화를 완료한다는 것이다.
한꺼번에 팔 수 없으니, 결국 분리해서 매각하는 것이다.
다음은 정부에서 발표한 매각 진행 절차 일정이다.
사진 출처 : 머니투데이 기사.
위와 같이 지방 은행 계열 그리고 증권계열 그리고 우리 은행 계열로 나눈 후 먼저 경남은행과 광주 은행같은 지방 은행들을 먼저 매각하며
추후 증권 계열 그룹 매각 작업에 들어가며, 마지막으로 우리 은행계열사들을 통합해 매각을 진행하여 내년 하반기까지 매각 절차를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규모가 줄어든 만큼 잠재적 인수후보자들 역시 늘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민영화의 가능성이 시장에서 높게 인식되어서 인지 우리 금융 주가는 6% 가량 상승했다. 오랫동안 우리 금융 주식에 투자했던 사람들에게는 매우 반가운 소식일 것이다.
또한 민영화로 인한 금융 경쟁력 제고, 또 자산 건전성 향상 및 서비스 개선 등의 긍정적 전망들 역시 나오고 있다.
그러나 무조건적으로 반가운 것만도 아니다.
오랫기간 팔리지 않았던 물건을 다시 재정비해서 급매로 내놓는 만큼 제값을 그만큼 받기란 어렵다.
현재 다른 금융 지주들도 마찬가지지만, 우리 금융의 주가는 특히 저평가 되어있다.
그럼에도 느긋한 건 구매자 즉 인수자가 아니라 판매자인 정부측이다.
당연히 공적 자금 극대화시키는 것과는 멀어지게 된다.
지방은행과 증권계열은 규모가 그리 크지 않기에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비핵심 계열사들 부터 깔끔하게 정리하는 방향은 나쁘지 않지만, 마지막 자산규모가 260조원에 이르는 거대한 우리 은행을 매각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피치사에서는 우리 은행의 매각을 실패로 바라보고 있다. 규모가 큰 만큼 시너지 효과도 막대하지만, 감내해야할 리스크 역시 적지 않기 때문에 인수자 입장에서 여러 경우의 수를 따져봐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2중 고용 문제나, 2중 영업 문제, 그리고 자금 투입으로 인한 자사 자본 건전성의 문제 등 고려해야할 리스크는 많아 진다.
따라서 인수 희망가 역시 더 높아지길 어렵다.
정부 입장에서도 이전보다는 덜해도 가격은 여전히 민감한 문제이다.
협상 차질이 생긴다면 우리 은행만 민영화 실패로 남아 있을 수 있다. 매각 자금을 통해서 복지예산으로 활용하려던 정부의 계획에도 차질이 생긴다.
이와 같은 딜레마 때문에 가장 우려되는 것이 바로 성급한 민영화추진으로 인한 터무니 없는 인수가격으로 매각되어 버릴 수 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의 거듭되는 인수 실패로 인해 민영화를 영영 못하는 것 아니냐 라는 조바심 때문에 이번 매각 계획은 거의 민영화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우리 은행에 투입된 공적 자금은 12조 가량.
현재 블록 세일과 배당 등으로 5조원 가량을 회수했다
남은 7조원.
아직 이 금액이 회수 되지 못했다.
민영화 실패 때마다, 인수 가격은 내려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기에 이번 정책 방향이 공적 자금 회수보다는 조속한 민영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즉 빨리 해야 한다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그렇기에는 투자된 세금이 너무 크다. 10년 동안 묶여 있었던 공적 자금을 생각해본다면 8조 이상은 추가 회수 해야 한다.
매각 작업이 시작 될때까지의 우리 은행 경쟁력 강화를 통한 매각 가치를 향상 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렇게 하면 공적 자금 회수 및 민영화 성공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경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 상식. 펀드에 대해서 알아보자. Part1 (0) | 2015.06.05 |
---|---|
공유지의 비극과 성공적인 자치 공유자원관리 시스템. 알리칸테 사례. (2) | 2015.05.08 |
이케아의 경쟁우위 전략 분석. (2) | 2015.05.08 |
각종 비과세 금융 상품들 혜택 축소 및 폐지. (0) | 2013.07.03 |
2008년 강만수 장관의 고환율 정책과 아베노믹스. (0) | 2013.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