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로봉순나이
- 구글
- 로봉순코갱
- 동덕여대공학
- 문가비인스타
- 로봉순무죄
- 파리한인민박
- 파리에어비앤비
- 경쟁우위
- 찢어라 리믹스 선언
- 로봉순징역
- 멜론
- 동덕여대공학전환
- 정우성문가비아들
- 마케팅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정우성문가비
- 동덕여대남녀공학
- 오연하나무위키
- 파리숙소추천
- 로봉순프로필
- 갤럭시s6
- 저작권
- 파리가성비숙소
- 소비자 행동
- 문가비프로필
- 셰익스피어
- 문가비아들
- 바르셀로나한인민박
- 민다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소비자 행동 3장 (1)
IntelFighter of the World
소비자 행동론Part 3. 문제의 인식과 정보의 탐색.
PART 2 에서 소비자가 문제해결을 하기 위한 정보처리과정에 대해서 다루었었다. 그 중 첫번째 단계는 바로 문제를 인식하는 것이고 그 후 정보를 탐색하게 된다. 1. 문제의 인식 문제의 인식이란 실제 상태랑 바람직한 상태간의 차이를 해소시켜 주는 수단에 대한 욕구의 환기라고 할 수 있다. 즉 소비자 구매행동의 유발요인으로서의 욕구라고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인식이 차후 의사 결정과정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충분한 동기부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동기부여는 실제 상태와 바람직한 상태의 차이의 크기 그리고 문제의 중요성에 의해서 결정 된다. 즉 그 차이가 클 수록, 문제가 중요할 수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매 의사결정과정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 위 그림처럼 실제 상태와 바람직한 상태의 GAP이..
경영학
2015. 5. 9. 0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