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문가비인스타
- 문가비프로필
- 경쟁우위
- 갤럭시s6
- 저작권
- 정우성문가비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바르셀로나한인민박
- 정우성문가비아들
- 동덕여대남녀공학
- 소비자 행동
- 찢어라 리믹스 선언
- 문가비아들
- 파리가성비숙소
- 오연하나무위키
- 동덕여대공학
- 로봉순프로필
- 동덕여대공학전환
- 민다
- 로봉순나이
- 구글
- 마케팅
- 파리에어비앤비
- 로봉순무죄
- 로봉순코갱
- 멜론
- 로봉순징역
- 파리한인민박
- 파리숙소추천
- 셰익스피어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세종 (1)
IntelFighter of the World
세종 시대의 부민 고소 논쟁. 그리고 세종의 절충론의 문제점
'부민고소'의 찬반을 둘러싼 논쟁은 세종1년 (1419년 : 세종의 즉위년인 1418년-8월 11일에 정사를 시작- 과는 구분되어야 함) 부터 세종 29년(1447년)에 이르기까지, 약 30여년간 전후 10차례에 걸쳐 일어난 세종대의 대 논쟁이었다. 이 논쟁의 발단은 세종 1년 (1419)년 2월 17일에 있었던 참찬 김전의 발언에까지 소급된다. 먼저 김전은 "신문고"와 관련하여 세종에게 이렇게 말한다 : 우리 조정에서 격고擊鼓하는 법을 창설한 지도 이미 여러해가 되었습니다. 지금 전하께서 총명 인자하시와, 매양 아래 사람의 심정을 막힘없이 위로 통하게 하시는 데도 때로는 격고하는 자가 간혹 순서를 밟지 않고 직접 위로 하소연하기 때문에 죄를 입기도 하니, 이렇게 격고하는 자에게 죄를 주는 것은 백성으로..
기타 이야기
2015. 6. 4. 1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