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파리에어비앤비
- 경쟁우위
- 저작권
- 정우성문가비
- 바르셀로나한인민박
- 로봉순징역
- 오연하나무위키
- 문가비아들
- 로봉순코갱
- 동덕여대공학
- 마케팅
- 갤럭시s6
- 민다
- 멜론
- 파리숙소추천
- 문가비프로필
- 셰익스피어
- 로봉순프로필
- 소비자 행동
- 파리가성비숙소
- 찢어라 리믹스 선언
- 동덕여대공학전환
- 로봉순무죄
- 동덕여대남녀공학
- 로봉순나이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파리한인민박
- 정우성문가비아들
- 문가비인스타
- 구글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회사법 (6)
IntelFighter of the World
회사법. 기초. Part1 총설.
법학의 기초지식부터 보자. 회사법,상법은 회계세무 전공이나 경영전공자가 공부하는 경우가 많은데, 법학 전공자가 아니더라도,법학에 포함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 법학의 기초지식을 알고서 공부를 해야 수월하다. 공법과 사법을 구별하는 것 부터 시작하겟다.공법은 국가의 조직이나 국가와 개인 관계를 규정하는 법률로 헌법, 행정법, 형법,소송법, 국제법 등이 이법에 해당한다. 반면 사법은 개인의 의무와 권리에 대하여 규정한 법률로, 민법과 사법을 들 수 있다. 추가적으로 최근 새로이 정립되는 사회법은 (노동법 및 경제관계법)은 사법과 공법이 융합된 것으로 사법의 공법화 경향을 보여준다. 공법 *사법의 이원적 체계를 인정하지 않고 보통법의 지배 원리에 의한 일원적 체계의 영미법계에서는 20세기에 들어오면서 행정법의 성..
회사법
2015. 4. 17. 19:30